trackback from: 언제 팔 것인가? 의 한 방법 상승시 손절가를 따라 올려주는 방법이다. (trailing stop) 매수한 종목의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손절가를 아래의 기준을 참고하여 상향조정한다. 이전 저가 이동평균선, 일목기준선, 전환선(?) 변동성 손실제한 (참고: 차트패턴 - 토마스 N. 블코우스키) 이전 일정기간(예. 한달) 동안의 일별 고가와 저가의 차를 구해 평균한다. 평균에 적당한 값(예. 1.5)를 곱한다. 전날의 저가에서 위에서 구한 값을 뺀다. 그러나, 수학문제 처럼 정답을..
trackback from: "언제 살 것 인가?"의 한 방법 - 차트패턴 : 높고 조밀한 깃발형 "차트패턴 - 토마스 N. 불코우스키" 중에서 확인과정 주가가 2개월 전에 비해 90%이상 상승해야 한다. 상승후 주가가 멈추는 곳-밀집구간-을 찾는다. 깃발 부분에서 거래량은 감소세여야 한다. 그러나 저자도 설명한 예에서도 나오듯이 100%로는 아니다.(10%정도 예외라고...) 거래 활용법 주가가 위쪽 추세선 위에서 형성될 때를 기다려라. 위쪽 추세선이 없는 경우는 종가가 패턴의 최고가 위에서 형성될 때까지 기다려라. 주식을 매수하라. 이전의 바..
trackback from: 차트패턴 - 반전 상승 가리비형 확인방법 1. 일간 차트에서 상승추세를 찾아라. 2. 알파벳 "J"를 180도로 돌린 모습의 패턴을 찾아라. 주가는 거의 수직으로 움직이기 시작하고(때로는 오른쪽으로 기울어져서) 둥그스름한 형태로 천정을 만들고 이어 하락한다. 3. 패턴의 마지막에 나타나는 주가는 보통 이전 주가 상승폭의 55% 후퇴 지점이다. 100% 이상으로 후퇴하는 패턴은 피하라(즉 주가가 상승 시작점보다 아래로 떨어지는 패턴). 4. 종가가 패턴의 최고가를 넘어서는 경우에 이..
trackback from: 고점돌파매매2 언제가 고점돌파매매라고 정리한 적이 있다. 오늘 인터넷을 검새하면서 "아...나는 신고가라는 것을 단순히 새로운 고가라고만 생각하고 있었구나"하는 생각이 드는 글을 보게 됐다. 글링크는 여기 이전글을 보면 컴텍시스템의 매매실패 사례가 있다. 매매에 도움이 될만한 글도 발견 할 수 있었다. 1,60일 이상의 신고가 갱신종목 매일찾아서 관찰 by 포비 | 2010/04/07 10:04 1,60일 이상의 신고가 갱신종목 매일찾아서 관찰. 2,신고가 갱신..
trackback from: 일목균형표 - 13. 매수가능 시점 각 매수가능 시점을 표시해 주는 그림입니다. 1. 최저점 근처에서의 매수 하락하던 추세가 상승으로 전환되는 최저점 근처에서 매수하는 것은 실패의 위험이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가지 기준을 제시해 본다면... - 5양련 - 바닥에서의 상승일수(9일이상) - 갭 - 일봉이 전일의 고가를 연속 경신 2. 전환선/기준선 호전 주가가 상승을 계속해서 전환선과 기준선을 돌파한 상태에서 계속 상승하거나 횡보만 해주더라도 전환선과 기준선의 호전이 발생한다...
trackback from: 일목균형표 - 14. 매수가능시점 검색식 만들기1 셀트리온 2010.01.06시점의 모습입니다. 최근엔 종합지수로 바닥에서 상승전화하는 시기가 아니라 상승진행중인 시점이라 종목들도 상승전환형 보다는 상승진행 중인 것들이 많습니다. 따라서 최바닥에서의 상승전환형 보다는 위 그림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 놈들이 더러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이를 검색식으로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고민해 봅니다. 1. 주가>전환선,기준선,구름대 2. 후행스팬>전환선,기준선 - 검색식으로 나타내기에 어려움이 있어 ROC >..
trackback from: 주식, 다시 처음의 고민으로.... 얼마전 주식매매에 대한 고민으로 무엇을 알고 결정해야 할지 생각해 본적이 있었다.... http://andmemories.textcube.com/35 이걸 쓰면서 생각한 것은 무의식 중에 1,2,3,4의 번호를 매긴 것으로 보아 순서대로 생각해야 겠다는 것이 작용했던 것 같다. 그러나, 지금 같은 시장이라면.... 매수할 종목들의 목록을 만드는 일을 해두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매매의 타이밍을 잡는 나만의 노하우까지....
trackback from: 언제 팔 것인가? 의 한 방법
답글삭제상승시 손절가를 따라 올려주는 방법이다. (trailing stop) 매수한 종목의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손절가를 아래의 기준을 참고하여 상향조정한다. 이전 저가 이동평균선, 일목기준선, 전환선(?) 변동성 손실제한 (참고: 차트패턴 - 토마스 N. 블코우스키) 이전 일정기간(예. 한달) 동안의 일별 고가와 저가의 차를 구해 평균한다. 평균에 적당한 값(예. 1.5)를 곱한다. 전날의 저가에서 위에서 구한 값을 뺀다. 그러나, 수학문제 처럼 정답을..
trackback from: "언제 살 것 인가?"의 한 방법 - 차트패턴 : 높고 조밀한 깃발형
답글삭제"차트패턴 - 토마스 N. 불코우스키" 중에서 확인과정 주가가 2개월 전에 비해 90%이상 상승해야 한다. 상승후 주가가 멈추는 곳-밀집구간-을 찾는다. 깃발 부분에서 거래량은 감소세여야 한다. 그러나 저자도 설명한 예에서도 나오듯이 100%로는 아니다.(10%정도 예외라고...) 거래 활용법 주가가 위쪽 추세선 위에서 형성될 때를 기다려라. 위쪽 추세선이 없는 경우는 종가가 패턴의 최고가 위에서 형성될 때까지 기다려라. 주식을 매수하라. 이전의 바..
trackback from: 차트패턴 - 반전 상승 가리비형
답글삭제확인방법 1. 일간 차트에서 상승추세를 찾아라. 2. 알파벳 "J"를 180도로 돌린 모습의 패턴을 찾아라. 주가는 거의 수직으로 움직이기 시작하고(때로는 오른쪽으로 기울어져서) 둥그스름한 형태로 천정을 만들고 이어 하락한다. 3. 패턴의 마지막에 나타나는 주가는 보통 이전 주가 상승폭의 55% 후퇴 지점이다. 100% 이상으로 후퇴하는 패턴은 피하라(즉 주가가 상승 시작점보다 아래로 떨어지는 패턴). 4. 종가가 패턴의 최고가를 넘어서는 경우에 이..
trackback from: 일목균형표 - 6. 상승률을 이용한 매수 & 매도
답글삭제매수 : 바닥에서 9% 상승,17% 상승시 매도 : 바닥에서 26%, 51%,76% 순차적 이익 실현법 - 와우넷 이동웅님의 카페에 있는 비디오(머니투데이 강의)에서...
trackback from: 고점돌파매매2
답글삭제언제가 고점돌파매매라고 정리한 적이 있다. 오늘 인터넷을 검새하면서 "아...나는 신고가라는 것을 단순히 새로운 고가라고만 생각하고 있었구나"하는 생각이 드는 글을 보게 됐다. 글링크는 여기 이전글을 보면 컴텍시스템의 매매실패 사례가 있다. 매매에 도움이 될만한 글도 발견 할 수 있었다. 1,60일 이상의 신고가 갱신종목 매일찾아서 관찰 by 포비 | 2010/04/07 10:04 1,60일 이상의 신고가 갱신종목 매일찾아서 관찰. 2,신고가 갱신..
trackback from: 일목균형표 - 13. 매수가능 시점
답글삭제각 매수가능 시점을 표시해 주는 그림입니다. 1. 최저점 근처에서의 매수 하락하던 추세가 상승으로 전환되는 최저점 근처에서 매수하는 것은 실패의 위험이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가지 기준을 제시해 본다면... - 5양련 - 바닥에서의 상승일수(9일이상) - 갭 - 일봉이 전일의 고가를 연속 경신 2. 전환선/기준선 호전 주가가 상승을 계속해서 전환선과 기준선을 돌파한 상태에서 계속 상승하거나 횡보만 해주더라도 전환선과 기준선의 호전이 발생한다...
trackback from: 일목균형표 - 14. 매수가능시점 검색식 만들기1
답글삭제셀트리온 2010.01.06시점의 모습입니다. 최근엔 종합지수로 바닥에서 상승전화하는 시기가 아니라 상승진행중인 시점이라 종목들도 상승전환형 보다는 상승진행 중인 것들이 많습니다. 따라서 최바닥에서의 상승전환형 보다는 위 그림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 놈들이 더러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이를 검색식으로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고민해 봅니다. 1. 주가>전환선,기준선,구름대 2. 후행스팬>전환선,기준선 - 검색식으로 나타내기에 어려움이 있어 ROC >..
trackback from: 주식, 다시 처음의 고민으로....
답글삭제얼마전 주식매매에 대한 고민으로 무엇을 알고 결정해야 할지 생각해 본적이 있었다.... http://andmemories.textcube.com/35 이걸 쓰면서 생각한 것은 무의식 중에 1,2,3,4의 번호를 매긴 것으로 보아 순서대로 생각해야 겠다는 것이 작용했던 것 같다. 그러나, 지금 같은 시장이라면.... 매수할 종목들의 목록을 만드는 일을 해두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매매의 타이밍을 잡는 나만의 노하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