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4월 11일 일요일

"언제 살 것 인가?"의 한 방법 - 차트패턴 : 높고 조밀한 깃발형

"차트패턴 - 토마스 N. 불코우스키" 중에서

확인과정
  • 주가가 2개월 전에 비해 90%이상 상승해야 한다. - 상승장일 확률이 높겠군
  • 상승후 주가가 멈추는 곳-밀집구간-을 찾는다.
  • 깃발 부분에서 거래량은 감소세여야 한다.
    • 그러나 저자도 설명한 예에서도 나오듯이 100%로는 아니다.(10%정도 예외라고...)

거래 활용법
  • 주가가 위쪽 추세선 위에서 형성될 때를 기다려라. 위쪽 추세선이 없는 경우는 종가가 패턴의 최고가 위에서 형성될 때까지 기다려라.
  • 주식을 매수하라.
  • 이전의 바닥 아래에, 즉 패턴보다 아래에 손실제한주문을 해두라. 아니면 변동성 손실제한주문을 활용하라.

주의점
  • 하향후퇴가 일어날 수 있는 위쪽 저항선을 피한다. 하향 후퇴가 일어나면 평균 상승폭이 단지 49%지만, 일어나지 않으면 100%!!!
  • 느슨한 형태를 피한다. 상승폭도 작을 뿐더러 실패의 확률도 높다.
  • 이탈 거래량이 30일 평균보다 적은 쪽이 주가 상승폭이 크다.
  • 깃발 부분이 이전 상승폭의 36%(중앙값)보다 높으면 주가 상승폭이 63%, 낮으면 74%다.
  • 바로 앞에서 주가가 수직상승한 경우는 피한다. 상승이 완만했던(보통 45도 각도) 패턴은 상승폭 70%, 수직상승의 경우 64%다.
  • 넓은 패턴 보다 좁은 패턴이 좋다.(상승폭 65% vs 71%) 따라서, 깃발 부분이 15일(중앙값) 이하인 경우를 찾아라.
  • 위쪽 추세선이 하향인 패턴을 찾아라.(70% vs 65%)

가격목표점
  • (패턴의 최고주가 - 2개월내의 최저주가)/2
    • 90%이상 맞는단다.

언제나 100%는 없다!!!
위의 내용은 참고일 뿐이다.
왜 그런지는 설명도 없으며 그냥 통계적인 자료일 뿐이다.
그러나, 창조는 모방에서 시작할 수도 있으니...

매도시기를 알려주지 않고 가격목표점을 값으로 구한다는 것은 상승한다 하더라도 오르락 내리락이 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trailing stop을 사용해서는 수익 잘 안날 수도 있다는 것일 지도...


댓글 1개:

  1. trackback from: 높고 조밀한 깃발형 검색 결과
    높고 조밀한 깃발형을 찾아봤다. 보는 눈이 없어서 그럴까? 조건에 맞는 것 찾기가 힘들다. 현재 강한 상승장은 아니지만 하락장도 아니라 생각된다. 그런데, 찾기 힘들다? 그래서 생각해봤다. 이유가 뭘까? 물론 보는 눈이 없어서도 큰 이유일 것이다. 그러나.... 미국장을 기준으로 쓴 책의 통계수치이다 보니 2개월내에 90%상승이라는 조건이 타당할 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장은 하루 15%라는 상한선이 있다. 그래서 그런지 이 조건에 맞는 것은 소위..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