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 매수가능 시점을 표시해 주는 그림입니다.
1. 최저점 근처에서의 매수
하락하던 추세가 상승으로 전환되는 최저점 근처에서 매수하는 것은 실패의 위험이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가지 기준을 제시해 본다면...
- 5양련
- 바닥에서의 상승일수(9일이상)
- 갭
- 일봉이 전일의 고가를 연속 경신
2. 전환선/기준선 호전
주가가 상승을 계속해서 전환선과 기준선을 돌파한 상태에서 계속 상승하거나 횡보만 해주더라도 전환선과 기준선의 호전이 발생한다.
- 돌파한 상태에서 상승을 계속하지 못하고 횡보하는 상태라면 기준선을 깨지 않고 눌림조정의 일수가 길지 않으면 좋다.(9일이내) 너무 오래 눌린다는 것은 매수세가 약하다는 이야기이다.
3. 후행스팬의 호전
이 상태에서 눌림을 주더라도 2.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준선을 깨지 않고 준비구성과 같은 시간 조건까지 맞춰주면 확률이 더 높아진다.
- 하락의 정도에 따라 2., 3.번의 순서는 바뀔 수 있다. 빠르고 깊은 하락 후 상승전환이라면 2., 3.번의 순서를 따를 것이다.
4. 구름 돌파
각 상황에 맞는 HTS상의 검색식을 생각해보면...
일단 검색식은 너무 많은 종목이 검색되지 않아야한다. 검토능력에는 한계가 있으니까..
100%는 없으므로 검색된 종목을 차근히 검토해 볼 수있는 정도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