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높고 조밀한 깃발형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높고 조밀한 깃발형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4월 13일 화요일

높고 조밀한 깃발형 검색 결과

높고 조밀한 깃발형을 찾아봤다. 보는 눈이 없어서 그럴까? 조건에 맞는 것 찾기가 힘들다.

현재 강한 상승장은 아니지만 하락장도 아니라 생각된다. 그런데, 찾기 힘들다?

그래서 생각해봤다. 이유가 뭘까? 물론 보는 눈이 없어서도 큰 이유일 것이다. 그러나....

  1. 미국장을 기준으로 쓴 책의 통계수치이다 보니 2개월내에 90%상승이라는 조건이 타당할 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장은 하루 15%라는 상한선이 있다. 그래서 그런지 이 조건에 맞는 것은 소위 급등주(상한가로 몇일 만에 조건달성)라는 것들이 찾아진다. 저자(블코우스키)의 주의점에도 언급되었듯이 패턴을 이루기 전 단기간에 급등(수직상승)한 경우는 피하고 싶다.
    • 그렇다면 우리에게 맞는 수치는 얼마일까?
    • 새로운 수치는 이 패턴의 유효성을 따라 줄까?
  2. 강한 상승장이 아니라서 일까?
    • 이전 상승장에서의 차트를 찾아보면 나올지도...그렇다면 이 패턴은 강한 상승장에서만 사용하도록 조건을 추가해야한다.
아무튼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2010년 4월 11일 일요일

"언제 살 것 인가?"의 한 방법 - 차트패턴 : 높고 조밀한 깃발형

"차트패턴 - 토마스 N. 불코우스키" 중에서

확인과정
  • 주가가 2개월 전에 비해 90%이상 상승해야 한다. - 상승장일 확률이 높겠군
  • 상승후 주가가 멈추는 곳-밀집구간-을 찾는다.
  • 깃발 부분에서 거래량은 감소세여야 한다.
    • 그러나 저자도 설명한 예에서도 나오듯이 100%로는 아니다.(10%정도 예외라고...)

거래 활용법
  • 주가가 위쪽 추세선 위에서 형성될 때를 기다려라. 위쪽 추세선이 없는 경우는 종가가 패턴의 최고가 위에서 형성될 때까지 기다려라.
  • 주식을 매수하라.
  • 이전의 바닥 아래에, 즉 패턴보다 아래에 손실제한주문을 해두라. 아니면 변동성 손실제한주문을 활용하라.

주의점
  • 하향후퇴가 일어날 수 있는 위쪽 저항선을 피한다. 하향 후퇴가 일어나면 평균 상승폭이 단지 49%지만, 일어나지 않으면 100%!!!
  • 느슨한 형태를 피한다. 상승폭도 작을 뿐더러 실패의 확률도 높다.
  • 이탈 거래량이 30일 평균보다 적은 쪽이 주가 상승폭이 크다.
  • 깃발 부분이 이전 상승폭의 36%(중앙값)보다 높으면 주가 상승폭이 63%, 낮으면 74%다.
  • 바로 앞에서 주가가 수직상승한 경우는 피한다. 상승이 완만했던(보통 45도 각도) 패턴은 상승폭 70%, 수직상승의 경우 64%다.
  • 넓은 패턴 보다 좁은 패턴이 좋다.(상승폭 65% vs 71%) 따라서, 깃발 부분이 15일(중앙값) 이하인 경우를 찾아라.
  • 위쪽 추세선이 하향인 패턴을 찾아라.(70% vs 65%)

가격목표점
  • (패턴의 최고주가 - 2개월내의 최저주가)/2
    • 90%이상 맞는단다.

언제나 100%는 없다!!!
위의 내용은 참고일 뿐이다.
왜 그런지는 설명도 없으며 그냥 통계적인 자료일 뿐이다.
그러나, 창조는 모방에서 시작할 수도 있으니...

매도시기를 알려주지 않고 가격목표점을 값으로 구한다는 것은 상승한다 하더라도 오르락 내리락이 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trailing stop을 사용해서는 수익 잘 안날 수도 있다는 것일 지도...